반응형
<한미 관세 협상 외신 반응 정리>
한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 시한 직전에 극적으로 타결하자, 주요 외신들은 이를 두고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각국 언론들은 한국이 새 정부 출범 직후 제한된 시간 내에 트럼프 행정부와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협상을 마무리 지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 결과 25%에 달할 수 있었던 고율 관세 부과를 막아내면서, 단기적으로 의미 있는 외교적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1. 미국 ‑ 블룸버그 통신
- 한국은 미국의 여섯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소개되며, 애초 8월 1일 시행 예정이던 25% 상호관세율과 징벌적 조치를 피하게 된 점을 부각했습니다.
- 협상 결과를 “최악의 상황을 피했다”는 평가로 요약하며, 한국의 대응이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2. 미국 ‑ 로이터 통신
- 한국을 미국의 10대 무역 상대국이자 주요 아시아 동맹국으로 지칭하며, 이번 협상을 한국‑미국 간 긴장 완화의 일환으로 해석했습니다.
- 한국이 미국과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며 전략적으로 협상에 임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3. 미국 ‑ CNN
- 과거 20여 차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과 재협상 사례를 통해, 한미 간 무역 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설명했습니다.
- 최종 합의 관세율 15%는 미국이 수십 개 국가에 적용하던 최저 관세율 10%보다 높지만, 애초의 25%보다는 훨씬 낮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이 협상에서 호락호락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 1분기 GDP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배경을 설명하며 25% 관세 부과 시 경제적 타격이 훨씬 컸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4. 영국 ‑ 파이낸셜타임스(FT)
-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 품목인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제조 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습니다.
- 삼성·현대·한화 경영진이 워싱턴을 방문해 첨단 제조 분야 투자 약속을 한 맥락에서, 이번 협상이 한국의 전략적 로비의 성과라고 해석했습니다.
5. 영국 ‑ BBC
- 한국이 국내에서 설정한 주요 ‘레드라인(쌀·쇠고기 추가 개방 금지)’을 넘지 않고 지켜냈다는 점을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 또한 조선업 협력 분야에서 미국과 상호 유리한 관계를 구축한 점도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6. 미국 ‑ 뉴욕타임스(NYT)
- 새 정부 출범 이후 촉박한 협상 일정 속에서 한국이 시간을 끌고 전략적으로 대응해 결국 타결에 이르렀다는 긴 여정의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 특히 농업·반도체·제약 산업에 대한 일부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향후 상황을 주시했습니다.
7. 미국 ‑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
- 이번 협상을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적 승리’로 판단하며,
- 한국이 백악관 요구 조건에 쉽게 복종하지 않고 전략적 협상을 전개해온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8. 중동 ‑ 알자지라 인용
- 모건스탠리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 보고서를 인용해 “최악은 피한 사례”라는 초기 평가를 전하며,
- 하방 리스크가 제거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당부를 보도했습니다.
✅ 한국의 입장에서 본 협상 성과
- 애초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예정되었던 것을 15%로 낮추는 데 성공, 이는 한국 입장에서 큰 방어 역량을 발휘한 결과입니다.
- 쌀·쇠고기 등 민감 농산물 시장 개방은 피했으며 주요 산업 구조의 핵심 조건은 지켜냈습니다.
-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를 약속하며, 투자‑무역 조건의 균형을 잡아냈고, 이는 향후 산업 및 외교 측면에서 정치적 자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외신들은 대체로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다,” “한국의 전략적 협상이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이는 곧 한국 정부가 협상을 일방적 수용이 아닌 전략적 대응으로 이끌어냈음을 의미합니다.
이번 협상에서 한국은 무역 상대국으로서 미국의 압도적인 요구를 조율하면서도 자국의 핵심 이익을 지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전략적 성공으로 평가됩니다.
반응형
'시사 한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순일 "골든" 커버 full ver.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OST Golden) (8) | 2025.07.19 |
---|---|
케데헌 흥행 이유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 이유) (7) | 2025.07.18 |
이란 원전 파괴와 대한민국 방사능 오염 피해 예측(방사능 낙진 지역, 대한민국 오염 가능성, 방사능 도달 예상시간) (2) | 2025.06.21 |
‘국민추천제’의 의미, 기대, 그리고 넘어야 할 과제들 (한계와 숙제) (2) | 2025.06.11 |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첫 여론조사, 국민 58.2% “잘할 것” (리얼미터) (0) | 2025.06.09 |
21대 대선 세대별 지지율 분석 (20대, 30대, 40대, 50대 지지율) (2) | 2025.06.06 |
외신이 본 이재명 대통령 당선 (외신반응 종합) (3) | 2025.06.04 |
출구조사 발표시간 / 방송보기 20:00, 이재명 51.7%, 김문수 39.3% 이준석 7.7%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