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 모집!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빈곤층 청년이 빈곤의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돕고, 근로하는 청년이 자산을 모아 사회에 안착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5년부터는 신청 요건이 완화되고 혜택이 강화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신청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 신청 자격 요건
🔹 연령 요건
- 기본: 신청 당시 만 19세~34세
- 예외: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자·중위소득 50% 이하 청년은 만 15세~39세 가능
🔹 근로·사업소득 요건
- 월 50만원 초과 ~ 250만원 이하
- 단, 수급자·차상위자 등은 월 10만원 이상 소득이면 가능
🔹 가구 소득 요건
- 중위소득 100% 이하
→ 예: 1인가구 기준 월 2,392,013원 이하
✅ 지원 내용
대상자 구분 본인저축액 정부지원금(월) 3년 후 총 수령액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월 10만원 이상 | 월 10만원 | 약 720만원 + 이자 |
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수급·차상위) | 월 10만원 이상 | 월 30만원 | 약 1,440만원 + 이자 |
※ 3년간 근로유지,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시 전액 수령 가능
※ 추가장려금: 근로소득공제금,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포털 →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자산형성지원 → 청년내일저축계좌
- 오프라인 신청: 시군구 내 읍면동 주민센터
※ 주소지 외 지역의 동일 시군구 주민센터에서도 신청 가능
※ 5월 16일까지 조기 방문 신청 권장 (사전투표 혼잡 고려)
✅ 신청 서류
- 아래 이미지 참고
✅ 선정 결과 및 저축 시작
- 선정 발표: 2025년 8월 중, 문자메시지 및 자산형성포털 공지
- 계좌 개설: 하나은행 지점 또는 하나은행 원큐앱(비대면)
- 저축 시작: 2025년 8월부터 (월 10~50만원 납입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Q1: 신청 후 탈락될 수 있는 주요 사유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소득 요건 미충족: 실제 소득이 기준보다 높거나, 서류 누락으로 소득 확인이 안 되는 경우
- 서류 미제출 또는 기한 초과: 필수 서류 미비 또는 보완 요청 후 기한 내 미제출 시
- 가구 소득 초과: 본인은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가구 전체의 소득이 중위소득 100%를 초과하면 탈락
- 기존 가입자 중복 신청: 이미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가입해 해지 전이라면 중복 신청 불가
✅ Q2: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구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목적 | 근로빈곤층 자산형성 지원 | 청년의 자산형성 일반 지원 |
대상 | 저소득 청년 (중위소득 100% 이하) | 연소득 7,500만원 이하 청년 전반 |
정부 지원금 | 월 10~30만원 정액 지원 | 비과세 혜택 + 소득공제 혜택 중심 |
가입 조건 | 소득 및 가구요건 엄격 | 상대적으로 폭넓음 |
저축 방식 | 매월 10만원 이상 + 3년 유지 | 5년 유지, 최대 월 70만원까지 납입 |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근로 청년’을 위한 맞춤형 복지형 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일반 청년’을 위한 자산형성 금융상품입니다.
✅ Q3: 내일저축계좌 해지 시점에서 지원금을 100% 받지 못하는 경우는 어떤 상황인가요?
- 3년 유지 실패 시: 통장을 3년간 유지하지 못하고 중도 해지할 경우
- 근로활동 중단 시: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3개월 이상 중단되면 자격 상실
- 교육 미이수 또는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 시: 필수 조건 불이행 시 지급 제한
- 소득 기준 초과: 가입 기간 중 근로소득이 월 250만원을 초과해 자격 요건을 벗어날 경우 중도 탈락 처리
- 적립금 미납: 매월 최소 10만원을 납입하지 않으면 해당 월의 정부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으며, 지속적 미납은 지원 중단으로 이어짐
✅ 마무리 조언
일하는 청년이라면 지금이 기회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요건 충족 여부와 신청서류의 정확한 준비, 그리고 3년간의 근로 지속 의지입니다.
신청을 고려 중이라면 복지로에서 사전 진단해보고, 준비 서류를 미리 갖춰두는 것이 현명한 첫걸음입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금 저축을 시작하세요!
문의전화
-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 1522-3690
- 복지로 상담센터 ☎ 1566-0313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자산형성포털 바로가기
'2025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가장 얇은 스마트폰 ‘갤럭시 S25 엣지’ 출시 (사전예약, 스펙, 가격 총정리) (0) | 2025.05.13 |
---|---|
케이뱅크 '돈나무 키우기' (10만원 현금리워드, 친구초대, 앱테크) (0) | 2025.05.12 |
쿠팡플레이, 국내 첫 ‘완전 무료 OTT’ 선언, (와우회원, 패스), 6월 (0) | 2025.05.12 |
SKT 유심 재설정 완벽 가이드, 실물유심교체 비교, 재설정 솔루션, 재설정 방법 (0) | 2025.05.11 |
노후 파산을 막는 국민연금 안심통장, 계설 방법, 압류 방지, 체납 (0) | 2025.05.11 |
유심 해킹 대비! 카카오톡 보안을 위한 필수 설정 10가지, 카톡보안 (0) | 2025.05.10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하면, 결제 금액의 최대 10%, 최대 2만 원까지 디지털상품권으로 환급 (0) | 2025.05.09 |
불황의 시대, 여행은 왜 여전히 사랑받을까? 해외여행, 여행소비 증가 (0) | 2025.05.09 |